40개에 불과한 공공 이용가능 SaaS, 개발 지원으로 대거 늘린다

English Translation
40개에 불과한 공공 이용가능 SaaS, 개발 지원으로 대거 늘린다

현재 40개에 불과한 공공 이용가능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늘리기 위한 정부 지원사업이 시작된다. SaaS 제품 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을 지원, 민간 클라우드 산업경쟁력을 강화하고 공공 분야에 SaaS를 확산하는 게 목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을 위한 사전공고를 게시했다. 29일 사업을 지원할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 대상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하고, 이후 본공고를 통해 참여 사업자(과제)를 선정할 계획이다.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은 △기존 상용SW의 SaaS 전환(유형1) △신규 SaaS 개발(유형2) △기존 SaaS 제품 고도화(유형3) 등 세 가지 유형으로 추진된다. 첫 해인 올해는 20개 과제를 선정·지원한다.

유형1과 유형2 과제는 1년·2년 지원 기간에 따라 최대 4억원(연 최대 3억원)을, 유형3 과제는 1년에 최대 3억원을 지원한다.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을 획득했거나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 등록된 SaaS는 대상에서 제외된다.

NIA는 사업추진협의체, 과제평가위원회, 과제조정위원회 등을 구성하고 과제(사업자)를 선정한다. 서비스형 인프라·플랫폼(IaaS·PaaS)과 전문기술지원 기업을 별도로 선정, 참여 기업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한다.

이민기 NIA 수석은 “단순 개발 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용기관 피드백까지 반영하는 게 목표”라며 “CSAP 획득을 위한 가이드도 제공하고 제품 출시 이후엔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 등록까지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에 등록되면 수의계약과 카탈로그 계약(수요기원이 원하는 대로 계약 방식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다.

SaaS는 세계 클라우드컴퓨팅 시장의 63.6%를 차지하며 가장 성장세가 빠른 분야다. 해외는 공공부문 민간(퍼블릭)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으로 민간의 고품질·첨단 SaaS를 활용, 디지털 혁신을 추진한다.

영국은 공공 이용가능 SaaS 제품이 1만 2150개에 이른다. 그러나 국내에는 공공에서 이용할 수 있는 SaaS 제품(CSAP 인증)이 40개에 불과하다. 중소 SW기업은 SaaS 전환의 기술적 어려움과 비용 부담, CSAP 획득 어려움을 호소한다.

이용가능 제품이 부족하면 필요해도 쓸 수가 없다. 수요도 증가하기 어렵다. 향후 공공 내부망까지 SaaS 활용이 가능해질 경우를 대비해 공공 이용가능 SaaS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A는 올해를 시작으로 2024년까지 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내년부터 사업 예산과 지원 과제도 늘린다. 민간기업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SaaS까지 더해 2024년까지 SaaS 제품을 300개 늘린다는 방침이다.

한편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민간부문 SaaS 개발 지원을 위해 '2022년 핵심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디지털워크, 디지털헬스, 지능형물류, 스마트제조, 환경·에너지 등 5대 산업부문에서 SaaS 신규개발과 고도화를 지원한다. 최근 이를 지원할 인프라 기업으로 네이버클라우드를 선정했다.

공공과 민간 모두에서 SaaS 산업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표〉공공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 과제 지원방식 및 지원기간

〈표〉공공부문별 SaaS 수요조사 결과

출처:20222년 행정·공공기관 클라우드컴퓨팅 수요예보

40개에 불과한 공공 이용가능 SaaS, 개발 지원으로 대거 늘린다

40개에 불과한 공공 이용가능 SaaS, 개발 지원으로 대거 늘린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