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AI 테크

‘발등에 불’ 떨어진 한국기업…삼성 네카오도 AI전쟁 참전

고민서 기자
우수민 기자
입력 : 
2023-01-26 19:30:06
수정 : 
2023-10-21 20:47:21

글자크기 설정

하이퍼클로바 [네이버 제공]
하이퍼클로바 [네이버 제공]

‘챗GPT’가 쏘아올린 생성형 AI 고도화 경쟁은 당장 네이버 등 국내 주요 IT기업들에도 발등의 불로 떨어졌다.

생성형AI가 이용자의 요청에 맞춰 창작활동까지 가능해지는 위력을 뽐내면서 미국 빅테크에 상대적으로 밀리고 있는 한국 기업들은 전략적 제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추격전을 서두를 태세다.

최근 네이버가 삼성전자와 함께 초거대AI에 최적화된 차세대 AI 반도체 솔루션을 개발키로 한 것이 대표적이다. 현재 네이버는 지난 2021년 5월 자체 개발한 초거대AI ‘하이퍼클로바’를 포털 검색, 커머스 , 콘텐츠 등 자사 주요 서비스에 접목해 활발히 운용하고 있다.

네이버는 또 서울대, 카이스트 등과 산합 협력을 통한 공동 연구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네이버는 특히 챗GPT가 검색 플랫폼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업국내외 IT업계 전망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대응태세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검색엔진 시장에서 점유율 60% 초반대로 아직까지는 선두 위치에 있기는 하지만 챗GPT의 위협과 함께 ‘코드레드’를 발동한 구글의 움직임까지 고려해 볼 때 하이퍼클로바를 접목한 네이버 검색엔진 고도화 작업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네이버는 한국어 검색에 있어 챗GPT보다 훨씬 고성능의 기술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어 특화 초거대AI 시장을 우선 선점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올해 클로바와 파파고, 웍스모바일, 웨일 등 각 조직의 AI 관련 기술 역량을 네이버클라우드로 결집할 계획이다.

상대적으로 카카오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초거대 AI 개발 사업으로 차별화하고 있다.

카카오의 AI 연구개발 자회사인 카카오브레인이 이 사업을 주도하고 있다. 앞서 카카오브레인은 지난 2021년 11월 GPT-3 모델의 한국어 특화 AI 언어 모델인 ‘KoGPT’를 내놓은 바 있다. 카카오는 아직까지 신시장에 속하는 AI 기반 항체 신약 설계 플랫폼이나 영상의료서비스 개발 등에 역점을 두고 있다.

또 카카오는 삼성전자, SK텔레콤 등과 함께하는 ‘AI R&D 협의체’를 만들어 기술동맹을 강화하고 있다.

SK텔레콤은 2018년 한국어 중심 GPT-3 개발에 뛰어든 이후 지난해 5월 이에 기반한 음성비서 서비스 ‘에이닷’을 선보이며 본격적인 상용화에 들어갔다. 기존 GPT-2보다 모델 규모를 확장해 사람처럼 공감하며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KT는 수년간 자체 개발한 초거대 AI ‘믿음’을 상반기 중 선보일 계획이다. 믿음은 전문지식과 협동 지능에 특화해 산업계(B2B)를 중심으로 상용화할 전망이다.

정부도 한국어 특화 초거대 AI 고도화를 위해 전폭적인 지원에 나선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26일 서울 강남구 하이퍼커넥트 본사에서 제2차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7129억원을 투입해 국가 전반에서 대규모 AI 수요를 창출하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초격차 AI 기술력 확보를 위해 8대 분야에서 새롭게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구축해 개방하고 AI 반도체 기술 고도화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한국어 데이터는 외국보다 우리 기업이 앞서 있어 충분히 가능한 시장”이라며 “초거대 AI의 경우 대기업의 API 확산을 적극 지원해 생태계를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