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IT·과학

"한국어 데이터 강화해야 AI 고도화 가능"

우수민 기자
입력 : 
2023-02-23 17:31:06
수정 : 
2023-02-23 20:38:54

글자크기 설정

초거대AI 발전 현장 간담회
LG·SKT·네카오 등 전문가
"빅테크 막대한 투자에 맞설
특화 서비스 개발 집중해야"
데이터 규제 완화 논의 필요
저작권 논쟁도 함께 풀어야
사진설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3일 챗GPT를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 역삼동에 소재한 의료AI스타트업 루닛 사무실에서 타운홀 미팅을 개최했다. 사진은 왼쪽부터 변형진 이스트소프트 센터장, 조민국 알체라 소장, 장홍성 지능정보산업협회 협회장, 이대희 고려대 교수, 박윤규 과기정통부 2차관, 엄열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 【사진 제공= 과기정통부】
"한국은 전 세계 3번째 초거대 인공지능(AI) 보유국이자 초거대 AI '서비스'를 보유한 3개국 중 하나다. 우리나라에도 충분히 기회가 있다."

정부가 23일 디지털 기업과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챗GPT를 필두로 한 AI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현장에는 한국형 초거대 AI를 직접 개발하고 있는 네이버, 카카오, LG, SK텔레콤과 같은 대기업은 물론 전문 영역에 특화한 다양한 AI 서비스를 내놓은 여러 중견·중소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AI 기술과 서비스의 국내외 확산 방안을 논의했다.

먼저 제반 기술 개발과 확산을 위해 정부가 인위적으로 기업 간 협업을 통합 지원하기보다는 개별 기업 중심의 산학 협력을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하정우 네이버 AI랩 소장은 "기업은 생존을 위해 알아서 움직이기 때문에 산학협력지원센터를 만들었을 때 학생·교수 정원(TO)과 연구원 인건비를 지원해주면 가장 도움이 될 것"이라며 "스타트업, 연구그룹, 교육·공공기관이 부담 없이 초거대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사용료를 직접 지원하는 방안도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 데이터 확보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특정 영역에 특화한 AI를 고도화하기 위한 학습에 필요한 한국어 기반 전문 데이터가 영어에 비해 적다는 지적이다. 김유철 LG AI 연구원 부문장은 "언어능력을 갖추기 위한 초기 학습 단계를 넘어서면 전문 영역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다"며 "한국어 데이터가 부족해 연구상 비율을 맞추기 위해 이미 확보한 영어 데이터를 모델에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방면에서 AI 수요를 창출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실제 임상 현장에 AI를 도입하기에 문턱이 높은 의료 영역이 대표적이다. 이예하 뷰노 대표는 "AI가 의료 현장 인력이나 리소스 부족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민간기업이 의료 현장에서 레퍼런스를 쌓으려면 AI 바우처와 같은 사업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취약계층을 위한 AI 일상화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최혁 마크노바 대표는 "노약자나 산간 지방 주민과 같은 취약계층은 인프라스트럭처 자체의 차이로 AI 활용에서 소외된 측면이 있다"며 "AI 스피커가 영어 교육에 활용되거나 어르신 돌봄에 활용되듯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규제 정립도 화두가 될 전망이다. 안면 사진 데이터를 비롯해 개인정보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영상인식 AI가 일례다. 조민국 알체라 소장은 "미국 국제표준연구소에서 영상인식 솔루션 성능을 검증할 때 중국이 선두에 오르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AI 개발이 용이하도록 관련 데이터 규제를 다 풀어놨기 때문"이라며 "CCTV를 비롯한 데이터 활용 문제를 해결할 정책적 지원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도 논쟁거리다. 이대희 고려대 교수는 "텍스트 데이터 마이닝을 위한 저작물과 데이터베이스 복제·전송은 규제 적용에 예외를 두는 법안이 나온 지 1년이 넘었지만 통과되지 못하고 있다"며 "AI 고도화를 위해 가능한 한 데이터를 활용하도록 돕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정부는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 확보를 비롯해 초거대 AI 생태계 조성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빅테크의 막대한 투자에 대응하기 위해선 정부와 민간의 역량을 총결집하는 것이 중요하며 6월 중 초거대 AI 생태계 발전을 견인할 범정부 차원의 정책 방향을 마련할 것"이라며 "올해를 AI 일상화의 원년으로 삼아 국민 생활 곳곳에 AI 제품·서비스를 확산하는 전 국민 AI 일상화 프로젝트를 관계 부처와 함께 기획·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우수민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